BLOG main image
Their Finest Hour! Since1999..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34)
My Page (47)
Linux/Unix (604)
::FAQ (279)
::Fundamentals (285)
::Shell Script (2)
::Apache (22)
::Tomcat (0)
::Sendmail (9)
::Qmail (0)
::DNS -Bind (4)
::AnNyung Linux (3)
Windows (219)
Database (61)
Programming (1)
Network (0)
ScreenShot (1)
Tip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디스켓 부팅

먼저 깨끗한 디스켓을 준비합니다.
네트워크로 부팅을 하고자 하거나, 하드나 시디롬을 통해서 설치를 하려면, 두 개의 디스켓이 필요
합니다.
하지만, 노트북을 사용하여서 PCMCIA장치를 구동시켜서 랜카드나 시디롬, 하드를 사용하려면,
세 장의 디스켓이 필요합니다.

|----> RedHat
|----> RPMS -- 이진패키지
|----> base -- 소형 파일시스템 설정 기록
|----> instimage -- 설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 images -- 부팅과 램디스크 이미지가 들어 있습니다.
|----> dosutils -- 도스에서 사용하는 설치 유틸리티가 들어 있습니다.
|----> doc -- 영문 매뉴얼과 FAQ, HOWTO가 들어 있습니다.
|----> misc -- 소스파일과 설치 트리가 들어 있습니다.
|----> COPYING -- copyright정보
|----> README -- 트리 정보
|----> RPM-PGP-KEY -- 레드헷 패키지의 PGP signature

위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images디렉토리에 가보면

boot.img -- 하드디스크나 시디롬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부팅디스켓
bootnet.img -- 네트워크를 통한 설치를 이용할 때 사용하는 부팅디스켓
pcmcia.img -- 노트북의 PCMCIA장치를 구동하여 사용하는 부팅디스켓
rescue.img -- 비상시 사용하는 디스켓

이렇게 4개의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설치에 따라서 이미지 파일을 골라서 1.44인치 플로피 디스켓에 이미지 파일을
풀어서 부팅 디스켓을 만듭니다.


◆부팅 디스켓을 도스에서 만들기

먼저 dosutils디렉토리에 가면, rawrite.exe라는 프로그램이 들어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 이미지 파일을 플로피 디스켓에 담습니다.

그러면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D:\dosutils>rawrite.exe <-- 실행시킵니다.

Enter disk image source file name : /images/boot.img(\images\boot.img도 사용가능)

Enter target diskette drive: a <- A드라이브이므로 A입력

Please insert a formatted diskette into driver A: and press -ENTER- <-엔터키


◆유닉스나 리눅스에 부팅 디스켓 만들기

이미 사용자가 유닉스나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아주 간단하게 부팅 디스켓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먼저, /dev/fd0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나 루트로 로그인을 합니다.
그런 다음에 해당 이미지가 있는 프롬프트에서 아래와 같이 실행합니다.

[root@localhost boot]# dd if=boot.img of=/dev/fd0
Posted by 채종윤
리눅스 커널을 보시면 숫자가 쫙있죠..

리눅스 커널의 버전 번호에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읍니다.

ㅇ 커널 버전 번호 형태: X.Y.Z
- X : 주 버전번호
- Y : 부 버전번호
- Z : 개정 번호(Z번의 버그 수정을 했다는 표시)

ㅇ 안정버전/개발버전
- 안정버전: Y(부 버전번호)가 짝수
- 개발버전: Y(부 버전번호)가 홀수

예) 현재의 안정커널 2.2.16으로 16번의 버그 수정을 했음
현재의 개발커널 2.3.99로 99번의 버그 수정을 했음

* 현재 설치된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하는 방법은....

"$ uname -a"명령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Linux southpole 2.2.14-5.0smp #1 SMP Tue Mar 7 21:01:40 EST 2000 i686 unknown"

리눅스로 호스트명은 southpole이며, 커널은 2.2.14로 다섯번째 컴파일되었으며, SMP기능(여러개의 CPU)을 지원하며, 5월7일 컴파일되었다는 표시입니다.

참고: uname - 시스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
Posted by 채종윤
compress, uncompress


가장 오래된 압축유틸리티이며 특히 오래전에 압축된 파일들은 거의 대부분 이 유틸리티를 활용하여 압축되어 있습니다.

파일의 끝에 Z가 붙어 있는 압축파일들은 compress로 압축된 것입니다.

일반사용자들 보다 서버관리자가 필히 알아두어야 할 유틸리티입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며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sspark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compress *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20

-rw-r--r-- 1 sspark sspark 2999 Jan 27 10:37 browser.html.Z

-rw-r--r-- 1 sspark sspark 2866 Jan 27 10:37 host.html.Z

-rw-r--r-- 1 sspark sspark 3745 Jan 27 10:37 hour.html.Z

-rw-r--r-- 1 sspark sspark 436 Dec 7 04:02 log.range.Z

-rw-r--r-- 1 sspark sspark 4093 Jan 27 10:37 page.html.Z




compress로 압축하기전의 용량과 압축후에 생성된 용량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압축된 후의 용량이 압축전의 용량의 절반쯤됩니다.

즉 압축률이 50%쯤이라고 볼 수 있죠.


그리고 압축이 된후에는 각각의 파일에 .Z라는 확장자가 붙게됩니다.

이는 compress로 압축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spark@nice dat]$ uncompress *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sspark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compress로 압축된 파일은 반드시 uncompress로 압축해제를 해야합니다.

uncompress는 파일이 .Z로 끝나는 것만을 찾아서 압축해제를 해줍니다.
Posted by 채종윤

Total : Today : Yesterday :
채종윤'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com / Designed by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