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Their Finest Hour! Since1999..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34)
My Page (47)
Linux/Unix (604)
::FAQ (279)
::Fundamentals (285)
::Shell Script (2)
::Apache (22)
::Tomcat (0)
::Sendmail (9)
::Qmail (0)
::DNS -Bind (4)
::AnNyung Linux (3)
Windows (219)
Database (61)
Programming (1)
Network (0)
ScreenShot (1)
Tip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을 삭제했을 경우 별도의 백업 라이브러리가 없거나
백업 서비스를 받지 않는 경우라면 삭제된 파일은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실수로 인한 파일삭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가령 rm command를 mv command로 alias로 걸어서 파일을 삭제하면 특정한
디렉토리(Windows의 쓰레기통과 같은)로 일정기간 move시켜 놓은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이런 종류의 utility는 상당히 많이 있고, 또 벤더 자체에서
제공하는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닉스 서버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항상
작업파일을 이름을 바꾸어서 백업을 해놓거나 그외에 백업디렉토리를 만들어서
백업을 시켜놓으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따로 백업
솔루션을 구축해 놓는 방법입니다.
Posted by 채종윤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설계 개념은 기본적으로 레지스터같이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전역적인 데이터베이스와 맞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 기본으로 이용되는 ext2 파일시스템이나 ext3 파일시스템은
사용자 레벨에서는 디스크 조각 모음이 필요없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템프폴더 정리나 쿠키 정리는 웹 브라우저 관련 내용이니까
운영체제와는 상관없습니다. 타임아웃 시간만 잘 설정하면 됩니다.

rpm이나 deb같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손쉽게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소스 컴파일 후 make install로 설치한 프로그램들은 make uninstall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물론 소스 컴파일한 디렉토리를 지우지 않아야 합니다.
Posted by 채종윤

dig 사용법

2005. 7. 1. 15:31
UNIX 에서 dns lookup 을 하는 dig 에대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기본적인 lookup
#dig @ns.gihc.net inet.co.kr

MX record 확인
#dig @ns.gihc.net -t mx inet.co.kr

모든 정보보기
#dig @ns.gihc.net -t any inet.co.kr

SOA 정보보기
#dig @ns.gihc.net -t soa inet.co.kr

NS 정보보기
#dig @ns.gihc.net -t ns inet.co.kr
Posted by 채종윤

Total : Today : Yesterday :
채종윤'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com / Designed by tistory.com